문화학교

⋅CS CENTER⋅

TEL : 061-742-1010
TEL : 061-742-4563

sccc1010@hanmail.net

강좌안내

HOME > 문화학교 > 강좌안내

라인댄스 소개

Author
순천문화원
Date
2021-09-03 15:42
Views
2816

라인댄스(Line Dance)의 개념

 

  1. 라인댄스의 정의

라인댄스(Line Dance)란 앞줄, 옆줄을 맞춰 춤추는 장소의 4방향의 벽을 따라 시계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정해진 루틴을 의미하며, 미국에서 기원하여 발전한 Country & Western Dance를 의미한다. 라인댄스의 형식은 일군의 사람들이 하나 이상의 라인에서 춤추며 같은 움직임으로 파트너 없이 혼자서 방향을 전환하며 한 음악에 같은 동작을 여러 번 반복하며 추는 댄스를 통칭한다.

따라서 라인댄스는 국민 전체 누구에게나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건강하고 유익한 춤인 동시에 건강한 마음과 신체를 통하여 건강한 삶과 밝은 사회를 이끌어 갈 예술성을 지닌 대중적인 생활체육의 한 분야이다.

 

  1. 라인댄스의 특성

아메리칸 라인댄스는 줄로 서서 미리 짜여 진 동작들로 춤을 춘다. 모두 같이 시작해서 모두 함께 같은 스탭을 하며 음악이 끝나면 춤도 끝난다. 라인댄스에서 사용되는 많은 음악들은 일반적인 박자의 30~34 마디의 적당한 빠르기로 걷는 속도를 유지하며 대부분의 춤들도 어떤 연령의 사람에게나 적절하게 되어 있다. 춤은 당신을 건강하게 하고, 친구를 만나게 하며, 정신적으로 건강할 수 있게 한다. 동작들은 남자와 여자가 같으며, 같은 동작들이 여러 번 반복된다. 처음에 라인댄스를 배우다 보면 많은 용어들이 나오는데 동작의 특징을 나타내는 말로 각각의 스텝을 알기보다 한 묶음의 동작으로 이해하는 것이 춤을 배우는데 편리하다. 춤의 길이도 다양하고, 음악과는 정확하게 맞지 않을 수도 있으나 어느 누구도 그 점을 걱정하지 않는다.

 

. 파트너가 필요 없다.

. 남녀노소 누구나 할 수 있다.

. 모든 사람들이 같은 방향을 보고 춤을 춘다.

. 동일한 음악에 동일한 동작을 한다.

. 여러 방향으로 전환하며 춤을 춘다.

. 안무는 비교적 단순하고, 여러 사람이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춤이다.

  1. 라인댄스의 발달과정

컨트리 음악의 발달과 더불어 발전한 라인댄스는 미국의 서부 개척시대에 여러 명의 남성들이 줄을 맞춰 같은 동작의 춤을 추며 4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며 추던 춤에서 기원한 Country & Western Dance이다. 이러한 라인댄스는 호주로 건너가 정형화되고 부흥되다가 다시 미국으로 넘어와 노인들의 건강을 위한 댄스로 자리 잡았다가 전 세계에 전파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중반에 형식적인 틀을 가졌던 컨트리 음악이 여러 가지 특성들을 수용한 형태로 바꾸기 시작했다. 부드러운 락이 영향을 주었으며, 전체적으로 우울한 기분을 느끼게 하는 발라드가 최근에 영향을 주었고, 모자, 부츠, 허리 버클의 카우보이 이미지는 사라져가고, 무엇이 뉴 컨트리(New Country)인지를 알려주도록 돕는 음악 비디오를 통해 새로운 컨트리 음악의 이미지를 만들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 뉴 컨트리 음악의 멋지고 새로운 스타일들이 많이 나타났고, 이러한 사람들은 음악은 단지 컨트리풍의 현상의 일부분이라고 여기며, 음악은 듣기 좋을 뿐 아니라 춤추기에도 좋아야 우수한 음악이라고 느꼈다. “댄스 랜치(Dance Ranch)”라는 컨트리 음악과 춤을 같이 즐길 수 있는 곳이라는 새로운 낱말도 생겼다. 1980년대 동안 청중들이 증가하였으며, 댄스 랜치들도 세계 곳곳에서 컨트리와 웨스턴 클럽(Country & Western club)으로 확립되었다. 혼자 가도 파트너를 구하기 위해서 걱정할 필요가 없으며 편안한 분위기로 긴장을 풀게 되고 넘쳐흐르는 분위기는 모든 사람들에게 멋진 시간을 보낼 수 있게 한다. 음악은 당신이 춤을 추길 원하게 만든다.

아메리칸 컨트리 라인댄스는 금요일 밤의 열기로 붐을 일으켰던 1970년대의 디스코 라인댄스의 인기에 비견할 만하다. 그러나 아메리칸 컨트리 댄스의 전통적인 동작들은 잊혀지지 않고 있으며, 일부는 라인댄스의 일부 동작으로 수용되기도 하였다.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걸쳐 춤의 주된 것이 팝 음악으로 행해지는 약간의 변화가 라인댄스 클럽에 나타났다.

이것은 모든 연령층의 사람들을 위한 춤 형식에 관심을 새로이 하게 되었다.

 

  1. 연령별 신체특성과 라인댄스의 교육효과

 

. 아동기의 특성과 라인댄스의 교육효과

학자들의 분류에는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아동기는 만 6세부터 12세까지를 말한다. 아동기는 신체활동이 왕성해 지는 시기이며, 바른 자세를 형성하고 균형 있는 움직임을 하는 것이 신체 발달에 많은 도움이 된다.

Gallahue(1996)은 아동의 발달교육에서 움직임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움직임 교육은 아동의 발달교육에서 움직임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움직임 교육은 아동의 동작발달을 통해 인지, 정서발달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아동기의 라인댄스 교육은 대근육과 소근육을 균형 있게 발달시키며 신체 협응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또래 아동들과 함께 어울려 움직이는 과정 속에서 타인과 소통하며 사회성을 형성하고 즐거운 음악에 맞춰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며 리듬감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교육효과가 있다.

 

. 청소년기의 특성과 라인댄스의 교육효과

청소년기는 어린이로부터 성인이 되어가는 과도기로 신체적, 정신적 성숙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급속한 변화와 성장을 경험하는 시기이다.(문화관광부, 2000) 청소년 시기에는 학업으로 인해 부족한 신체활동과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적절한 운동이 필요한데 청소년들이 선호하고 관심을 갖고 있는 음악에 안무된 라인댄스는 신체활동의 흥미를 고취시켜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할 수 있다.

청소년기 라인댄스에 참여하게 되면 내재된 자유로운 신체활동과 표현을 이끌어 내고 라인댄스를 함께 배우는 또래들과 춤을 통해 어울리며 리더 쉽, 합리적 사고 등과 같은 사회적 가치를 학습하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더욱이 청소년들의 사회적 비행, 탈선 등이 만연한 요즘 라인댄스는 청소년들의 신체와 정신을 발달시켜 올바른 여가활동 교육의 중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 성인기의 특성과 라인댄스의 교육효과

현대의 성인들은 치열한 경쟁을 하는 삶 속에서도 교육수준과 소득의 증가로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자기개발을 추구하려는 의식이 높아져 가고 있다. 사회활동을 하는 성인들에게 신체활동의 참여는 일상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 해소와 건강증진이라는 목적 외에 다양한 사람들과의 사회적 교류를 통한 인적 네트워크 형성의 목적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는 성인들에게 라인댄스의 참여는 같은 취미를 공유하는 이들이 모여 새로운 인간관계 형성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고 유산소 운동을 통해 체력을 향상시키며 즐거운 음악에 맞춰 춤을 추며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가시간을 건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갖고 있다.

 

. 중년기의 특성과 라인댄스의 교육효과

중년에는 체력의 저하에 따른 신체의 나약함을 새로이 감지하게 되면서 건강에 대한 염려와 건강관리에 더욱 관심을 갖는 시기이다. 중년기에는 발달하던 신체의 점진적 쇠퇴가 일어나고 45세에서 60세까지 갱년기가 지속되며 여성의 경우 갱년기 중에 폐경이 발생한다.(노재현, 2002) 특히 40대 후반에 접어들면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생산이 중단되면서 여성으로의 매력이 점차 사라지는 급격한 신체적 변화가 일어나는데 바로 이러한 현상이 중년 여성에서는 일찍이 경험해보지 못한 커다란 정신적 충격으로 다가온다.(윤진, 1985)

급속한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는 중년기 특히 중년기 여성들에게 라인댄스 활동은 심신의 건강을 도모하여 삶의 질을 높여 줄 수 있다. 과격하거나 어려운 동작이 아닌, 이전에 춤을 배워보지 못한 사람들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간단하고 다양한 종류의 라인댄스는 스트레스를 받지 않기 때문에 노년에까지 여가 활동으로 지속될 수 있다. 또한 부부가 함께 라인댄스에 참여하면 같은 취미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부부간의 소통의 장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노년기의 특성과 라인댄스의 교육효과

급속한 사회발달과 변화로 평균 수명은 연장되고 노인 인구는 증가되고 있다. 오로지 경제 활동과 자녀 양육에 매진하며 살아오다 갑작스런 은퇴를 맞게 되면 가족 구성원, 사회 구성원으로 역할을 상실하고 사회의 참여나 사회적 이익에 소외되어 경제적 빈곤과 건강의 약화 등의 문제를 겪게 된다.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은 매우 빠르지만 노인들이 행복한 노년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적 제도는 매우 취약하다. 또한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노인들이 건강한 삶을 살고자 하는 욕구는 매우 크지만 그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여가 활동은 매우 제한적이다.

라인댄스는 노인들이 지루하지 않게 신체 활동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음악에 맞추어 낮은 강도의 움직임을 지속하므로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안무된 비교적 간단한 동작을 벽면을 전환하며 반복함으로써 동작을 기억하려는 노력을 통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적 정신적 교육효과 외에 같은 또래의 노인들과 라인댄스를 배우며 어울리게 됨으로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게 되어 노년기의 사회적 고립감도 해소할 수 있다.

 

 

  1. 라인댄스의 운동효과

 

. 올바른 자세를 갖게 한다.

라인으로 서 있는 모든 이들은 모두 척추를 바르게 세운 정돈된(line-up) 자세를 요구한다. 바쁜 생활에서 소홀하기 쉬운 우리의 몸의 골격을 댄스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바른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고, 춤을 추는 동안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업(up), 다운(down)은 무릎과 발목, 관절 등 우리가 평소 사용하지 않고 퇴화하기 쉬운 근육들을 골고루 사용하게 되어 바른 자세를 갖도록 만든다.

 

. 비만이나 체력 저하에서 벗어날 수 있다.

라인댄스는 운동특성상 다른 운동에 비해 후진 워킹 스텝을 많이 하도록 되어 있어서 대퇴 전근과 대퇴둔근의 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므로 관절, 인대 등을 강화시킨다. 또한 유산소 운동으로 체내지방을 태워주는 작용을 하므로 주 2회 정도 3개월 이상 라인댄스에 참여하다 보면 자신이 직접 체형이 변화되고 몸이 가벼워지는 것을 느끼게 된다.

 

.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다.

인간의 발달과정에서 골량의 변화는 40세까지는 골량이 증가하나 40세 이후는 골량이 감소하기 시작해서 10년 주기로 3~5%의 소실이 이루어진다. 워킹 동작이 많은 라인댄스는 소실되기 쉬운 골밀도를 높여 우리 몸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 치매예방에 도움을 준다.

  1. 라인댄스 장르별 이해와 특성

 

가. Rise & Fall : waltz와 같이 박자로 여유로운 곡조에 파도의 오르 내림

처럼 무릎의 상하 움직임을 이용하여 추는 우아한 장르의 춤

 

나. Pulse : 박자의 경쾌하고 템포가 빠른 리듬의 춤으로 리듬감이 강하며,

액센트가 강조되는 Polka, Ecw, jive와 같은 춤이 해당된다.

 

다. Smooth : 박자로 가장 낮은 느린 곡조로 부드럽고 잔잔한 움직임을 사용하는 춤.

 

라. Cuban : 박자의 빠르고 경쾌한 쿠바풍의 차차 리듬의 춤

 

마. Street : 자유롭고 즉흥적인 방식으로 개성을 표현하는 비보이댄스, 브레 이킹 댄스, 팝핑, 라킹 등이 있다.

 

바. Stage : 그 시대의 대중문화를 풍미하는 흥미로운 내용의 안무와 테그닉 으로 구성된 춤. 발레, 째즈, 탭댄스, 뮤지컬 … 등

 

※ 라인댄스의 기술수준 난이도가 낮은 뉴커머(Newcomer), 노비스(Novice), 세련된 표현력을 구사하는 인터미디어(Intermediate), 전문적이고 창의적인 움직임을 구사하는 어드밴스(Advanced) 그리고 크라운(crown), 슈퍼스타(Superstar)로 나뉜다.